아이디 |
|
2013-08-22 오후 3:06:27 | 121.191.***.18
|
무유도 로켓이니 일정구역안에 화망을 구성해서 글쓴님의 말처럼 시한신관이나 근접신관을 이용해 폭발파편으로 공격하지 않을까요?
많은로켓을 휴대할수없으니 약간 제약이 존재하겠군요 |
|
|
|
|
아이디 |
|
2013-08-23 오후 3:39:05 | 121.161.***.44
|
그래서 독일에서는 연합국의 중폭격기 편대(대표적으로 플라잉포트리스)에 대해 대구경 기관포나 로켓을 탑재한 제트요격기로 요격을 시도했다고 하죠. |
|
|
|
|
아이디 |
|
2013-08-24 오후 4:28:39 | 218.53.***.102
|
독일 공군이 Me 262가 주로 R4M 공대공 로켓을 사용하여 폭격기 대형을 쑥밭으로 만들곤 했지요.
그 이후 공대공 로켓이란건 전쟁에서 잘 쓰이진 않았지만 1960년대 미 주방위 공군에서는 소련의 폭격기들이 미국의 영공을 침범했을 때를 대비하여 요격기에 핵탄두(!!) 공대공 로켓을 무장시킵니다. 대충 쏴도 좀 빗나가도 편대 몇개 날라가는건 일도 아니거든요. 물론 나중엔 효용성이나 방사능 문제등으로 인하여 퇴역. |
|
|
|
|
아이디 |
|
2013-12-12 오후 4:59:24 | 211.254.***.67
|
현대에서는 자벨린 미사일을 사용합니다. 보병이나 초계함, 구축함과같은 전투함이 사용하는데, 전투기에서 적전투기를 미사일로 겨냥하는것과 동일하게 타겟을 조준하고, 미사일을 발사해서 전투기를 유도, 격추합니다. 플레어를 사용해도 타겟의 혼동없이 정해진 목표만을 타격하도록 되어있습니다. |
|
|
|
|
아이디 |
|
2014-07-05 오후 4:48:45 | 118.45.***.36
|
공대공이요? 그럼 Ruhrstahl-X4말하느 건가요? |
|
|
|